중앙동이 가진 역사적, 문화적 잠재자원의 발굴 및 보존을 통해 도시의 장소성을 회복하고, 새로운 문화프로그램들로 도시공간의 활력을 불어 넣어준다. 이를 위해 포항의 과거와 현재의 도시성을 담고 있는 수도산에서 동빈내항까지의 수평적 풍경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축을 설정하고, 사이트 주변 결절점들을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도심 내 유기적 보행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문화풍경축으로 분절된 구,중앙초 부지의 매스는 저층의 분동형 배치로 도시의 통경축을 열어주어 사이트 주변의 포은도서관 육거리, 창조마을을 잇는 오픈 스페이스로 형성된다. 과거 대상지의 옛 길의 흔적(갯목 옛길)을 복원하여 문화 예술가로로서 포항 아트홀과 문화팩토리를 잇는 보행네트워크로 제안한다. 분절된 매스는 옛 흔적을 따라 리듬감있게 배치되어 도시의 성장축과 변화에 대응하는 공간으로 계획한다. 현북구청 부지는 도시의 머무는 공간으로 계획하여 청년과 청소년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미래를 위해 도전하는 열린 공간으로 제안한다. 따라서 'ㄷ'자 중정형 배치를 통해 자연스럽게 내부로 동선을 유입하고 중정으로 열린 테라스는 사용자에게 다채로운 경험적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대상지 주변의 어울림플랫폼과 북부소방서 안전광장과 연계하여 도시를 연결하는 입체적인 플랫폼으로 구현된다.해양도시 포항의 지역성을 담은 시민광장으로서 뉴딜사업에 활력을 부여하는 새로운 랜드마크로 제안한다. 천해의 자연환경을 가진 포항의 지역성으로 해조류 움직임과 바다의 흐름을 모티브로 외부공간을 형상화하여 계획한다. 이 외부공간은 지역의 이벤트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시민에게 여가와 사색의 분위기를 제공하고 다양한 문화창작활동이 일어나는 문화휴게공간으로 자리한다. The city recovers the site as a memorable pace through the excavation and preservation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of Jungang-dong, vitalizing the urban space with new cultural programs. The Sudosan and Dongbinnae-harbor symbolizes the past and present of Pohang, giving a natural city re-vitalizing axis under the horizontal scenery. The surrounding nodes are actively linked with each other, offering an organic pedestrian network within the city. The cultural scenery axis divides the old Jungang-elementary school site mass, opening the city into the natural scenic views that is supplemented by the alignment of separate low-storey masses. The spaces are opened that connects the yuk-guri of Poeun library and Changjo village. The old streets and remnants of the site is recovered as a cultural art street that links the Pohang Art hall and the Culture factory, serving as a pedestrian network. The separated mass is aligned in a rhythmic manner along the old traces of the city, responding to the upcoming changes along the city’s growth axis. The Hyunbuk city office site is planned as a space of stay, offering new experiences for the youth as a space of openness and challenge for the future. Accordingly, a ㄷ – shaped courtyard invites the human traffic in a natural flow and the open terrace allows the users a wide variety of experiential space.Moreover, the Eou-ullim platform nearby and the safe square of the Northern Firestation is linked, connecting the surroundings in a 3-dimensional platform. The ocean city Pohang’s regionality is embedded in the civil square, endowing the new-deal plan a playful atmosphere as a local landmark. The city rich of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s provide multiple motifs that naturally becomes the architectural languages of the given project. The exterior spaces as an accommodating open space of local and regional events, provides a leisurely and meditating mood, making the place a space of wide variety of multi-cultural resting space.
|
DESCRIPTION
중앙동이 가진 역사적, 문화적 잠재자원의 발굴 및 보존을 통해 도시의 장소성을 회복하고, 새로운 문화프로그램들로 도시공간의 활력을 불어 넣어준다. 이를 위해 포항의 과거와 현재의 도시성을 담고 있는 수도산에서 동빈내항까지의 수평적 풍경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축을 설정하고, 사이트 주변 결절점들을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도심 내 유기적 보행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문화풍경축으로 분절된 구,중앙초 부지의 매스는 저층의 분동형 배치로 도시의 통경축을 열어주어 사이트 주변의 포은도서관 육거리, 창조마을을 잇는 오픈 스페이스로 형성된다. 과거 대상지의 옛 길의 흔적(갯목 옛길)을 복원하여 문화 예술가로로서 포항 아트홀과 문화팩토리를 잇는 보행네트워크로 제안한다. 분절된 매스는 옛 흔적을 따라 리듬감있게 배치되어 도시의 성장축과 변화에 대응하는 공간으로 계획한다. 현북구청 부지는 도시의 머무는 공간으로 계획하여 청년과 청소년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미래를 위해 도전하는 열린 공간으로 제안한다. 따라서 'ㄷ'자 중정형 배치를 통해 자연스럽게 내부로 동선을 유입하고 중정으로 열린 테라스는 사용자에게 다채로운 경험적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대상지 주변의 어울림플랫폼과 북부소방서 안전광장과 연계하여 도시를 연결하는 입체적인 플랫폼으로 구현된다.해양도시 포항의 지역성을 담은 시민광장으로서 뉴딜사업에 활력을 부여하는 새로운 랜드마크로 제안한다. 천해의 자연환경을 가진 포항의 지역성으로 해조류 움직임과 바다의 흐름을 모티브로 외부공간을 형상화하여 계획한다. 이 외부공간은 지역의 이벤트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시민에게 여가와 사색의 분위기를 제공하고 다양한 문화창작활동이 일어나는 문화휴게공간으로 자리한다.
The city recovers the site as a memorable pace through the excavation and preservation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of Jungang-dong, vitalizing the urban space with new cultural programs. The Sudosan and Dongbinnae-harbor symbolizes the past and present of Pohang, giving a natural city re-vitalizing axis under the horizontal scenery. The surrounding nodes are actively linked with each other, offering an organic pedestrian network within the city. The cultural scenery axis divides the old Jungang-elementary school site mass, opening the city into the natural scenic views that is supplemented by the alignment of separate low-storey masses. The spaces are opened that connects the yuk-guri of Poeun library and Changjo village. The old streets and remnants of the site is recovered as a cultural art street that links the Pohang Art hall and the Culture factory, serving as a pedestrian network. The separated mass is aligned in a rhythmic manner along the old traces of the city, responding to the upcoming changes along the city’s growth axis. The Hyunbuk city office site is planned as a space of stay, offering new experiences for the youth as a space of openness and challenge for the future. Accordingly, a ㄷ – shaped courtyard invites the human traffic in a natural flow and the open terrace allows the users a wide variety of experiential space.Moreover, the Eou-ullim platform nearby and the safe square of the Northern Firestation is linked, connecting the surroundings in a 3-dimensional platform. The ocean city Pohang’s regionality is embedded in the civil square, endowing the new-deal plan a playful atmosphere as a local landmark. The city rich of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s provide multiple motifs that naturally becomes the architectural languages of the given project. The exterior spaces as an accommodating open space of local and regional events, provides a leisurely and meditating mood, making the place a space of wide variety of multi-cultural resting space.
SUMMARY
SKETCH
#2018, #Civic & Culture, #Winer, #Pohang, #포항,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