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림건축 설계파트의 전략 종목은 크게 도시주거설계, 도시개발사업, 공공건축사업입니다. 도시주거와 개발 분야에서는 새로운 친환경 패러다임과 스마트 시티의 방향을 제시하며 경기도 등 정부발주사업에 역량을 집중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방사업분야는 미국 국방부(육해공군)와 설계협약을 체결한 유일한 기업으로써 국내 설계사무소 중 독보적 사업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도서관은 만남의 공간이다. 수많은 책과 자료를 통한 간접적인 만남부터, 지적 사유를 통한 자신과의 만남, 그리고 도시 속 공공의 장소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행위들과 조우하는 순간들이 그 안에 녹아있다. 따라서, 도서관은 단편적 기능을 수용한 건물 한 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속에 장소를 만들고 나아가 지역 사회를 위한 공공의 기능을 담아내는 ‘공유 공간’인 것이다. 세종시립도서관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기능이 공간의 응축과 확산을 통해 펼쳐지는, 시민 모두에게 열린 공간으로서 일상의 ‘자연스러움’ 속에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넘어 다양한 사용자들의 상상력과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즐거운 체험의 장소를 제공한다. 장소의 제약이 없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배움과 경험이 가능한 도서관의 새로운 공간들은 매스들이 만들어 내는 틈을 통해 스며드는 빛으로 유도되고 구체화된다.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2차원적 공간으로서의 도시가로환경에서 가로를 둘러 싸고 있는 수직적 요소까지 포함하는 3차원적 환경으로 조성된 보행 가로는, 길을 따라 펼쳐진 다채로운 풍경과 그 위를 거닐며 마주하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의 공간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A library is a space for meeting—indirect meeting through numerous books and materials, as well as meeting oneself through a yearning for intellectual purpose. There are also the moments of experiencing a multitude of public events throughout the city that are to be enjoyed by both visitors and locals alike. Accordingly, the library is not just a single building where fragmentary functions are accommodated for, but a "shared space" where a place is created in a city with public functions for local communities to enjoy. The Sejong City Library is an open space for every citizen, and provides various programs and functions whilst serving as a space offering exciting experiences to encourage a diverse amount of users to pique their imagination and interest beyond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in daily "natural features". New spaces of the library, spaces where learning and experiences can be had in various environments without spatial limitations, are induced and materialized through a gap created within the main mass. A pedestrian avenue is also created with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with vertical elements which encompass the avenue in a two-dimensional environment. This main avenue is defined as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which includes diverse landscapes along with the road, as well as the inclusion of various activities. The Sejong City Library also attempts to further loosen the surrounding urban boundar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n extended "shortcut",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 more culturally-oriented avenue with an emphasis on pedestrian conveni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library starts from creating a convenient and safe road for pedestrians whilst maintaining a similar formalization to the original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area. Through this embrace of the nearby topography, a horizontal landscape quietly and naturally leads to the vertical built mass and naturally permeates the neighboring scenery through the process of assimilating itself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ESCRIPTION
도서관은 만남의 공간이다. 수많은 책과 자료를 통한 간접적인 만남부터, 지적 사유를 통한 자신과의 만남, 그리고 도시 속 공공의 장소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행위들과 조우하는 순간들이 그 안에 녹아있다. 따라서, 도서관은 단편적 기능을 수용한 건물 한 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속에 장소를 만들고 나아가 지역 사회를 위한 공공의 기능을 담아내는 ‘공유 공간’인 것이다. 세종시립도서관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기능이 공간의 응축과 확산을 통해 펼쳐지는, 시민 모두에게 열린 공간으로서 일상의 ‘자연스러움’ 속에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넘어 다양한 사용자들의 상상력과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즐거운 체험의 장소를 제공한다. 장소의 제약이 없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배움과 경험이 가능한 도서관의 새로운 공간들은 매스들이 만들어 내는 틈을 통해 스며드는 빛으로 유도되고 구체화된다.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2차원적 공간으로서의 도시가로환경에서 가로를 둘러 싸고 있는 수직적 요소까지 포함하는 3차원적 환경으로 조성된 보행 가로는, 길을 따라 펼쳐진 다채로운 풍경과 그 위를 거닐며 마주하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의 공간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A library is a space for meeting—indirect meeting through numerous books and materials, as well as meeting oneself through a yearning for intellectual purpose. There are also the moments of experiencing a multitude of public events throughout the city that are to be enjoyed by both visitors and locals alike. Accordingly, the library is not just a single building where fragmentary functions are accommodated for, but a "shared space" where a place is created in a city with public functions for local communities to enjoy. The Sejong City Library is an open space for every citizen, and provides various programs and functions whilst serving as a space offering exciting experiences to encourage a diverse amount of users to pique their imagination and interest beyond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in daily "natural features". New spaces of the library, spaces where learning and experiences can be had in various environments without spatial limitations, are induced and materialized through a gap created within the main mass. A pedestrian avenue is also created with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with vertical elements which encompass the avenue in a two-dimensional environment. This main avenue is defined as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which includes diverse landscapes along with the road, as well as the inclusion of various activities. The Sejong City Library also attempts to further loosen the surrounding urban boundar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n extended "shortcut",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 more culturally-oriented avenue with an emphasis on pedestrian conveni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library starts from creating a convenient and safe road for pedestrians whilst maintaining a similar formalization to the original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area. Through this embrace of the nearby topography, a horizontal landscape quietly and naturally leads to the vertical built mass and naturally permeates the neighboring scenery through the process of assimilating itself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MMARY
RENDERING
#2017, #세종시, #문화시설, #도서관, #설계, #Design, #Research, #Library, #Sejong